감기에좋은음식, 콩나물식혜 (갱엿식혜)만드는법, 천연감기약 콩나물식혜를아시나요??
안녕하세요. 날씨가 갑자기 너무 추워졌어요. 어김없이 저희 집아이들은 콧물과 기침을 시작하였는데요. 마침 친한 언니가 환절기 때 아이들을 위해서 매번 만든다는 감기에 좋은 음식이 있다고 해서 만들어보기로 했습니다. 천연 감기약이라고 하는데, 저는 참 이름도 생소한 "콩나물식혜"가 바로 그것입니다.
오늘의 사부작은
천연감기약
콩나물식혜(갱엿식혜)
만들어보기입니다.
1. 콩나물식혜란?
배, 무, 도라지, 대추, 콩나물, 생강, 맥문동, 갱엿(쌀엿), 등을 넣고 은은하게 달여 마시는 전통차로 감기의 예방과 증상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. 갱엿식혜라고도 불린다고 하네요.
2. 콩나물식혜 만들기
재료:
콩나물 500g, 갱엿(조청으로 대체가능) 1kg, 배 2개, (1개 했다가 1개 더추가함) 대추 몇 알, 무반 쪽
(이 외에 생강이나 도라지 등등을 추가해서 만들어도 됨)

재료를 준비했어요. 생강과 도라지도 넣을까 했지만, 아직 아이들이 잘 먹어줄지 모르니, 그나마 은은한(?) 재료들만 골라서 만들어보려고 했어요.

갱엿이에요. 구매처는 인터넷구매했고요. 어릴 때 소포장된 갱엿을 학교 앞에서 먹었었어요. 참 좋아했는데 오랜만에 추억이 새록새록하더라고요.(어머 옛날사람..)

갱엿이란? 불린 쌀을 쪄서 엿기름을 부어 따뜻하게 삭힌 후 걸쭉하게 조리다 보면 조청이 되고요, 조청보다 더 오랜 시간 조려주면 갱엿이 된다고 하네요. 이 갱엿을 늘렸다 합쳤다 늘렸다 합쳤다 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우리가 아는 흰색의 엿이 된다고 합니다.

제일 먼저 콩나물의 대가리를 떼주어야 합니다. 콩나물 대가리가 들어가면 콩비린내가 날 수 있어서 먹기에 거부감이 들 수도 있기 때문이랍니다.

콩나물 대가리는 떼어내고, (꼬리는 떼어주지 않았어요) 깨끗하게 씻어줍니다. 배는 깨끗하게 세척 후, 껍질채 나박나박 적당한 크기로 썰어줍니다. 무도 마찬가지로 썰어 준비합니다. 얇게 썰수록 잘 고아진다고 하네요.

오랜만에 들통을 꺼내보았어요. 들통에 삼발이 아래까지 정수를 넣어줍니다. 전기밥솥을 이용할 경우, 모든 재료를 넣고 보온으로 12시간 이상 두면 쉽게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. 저는 냄비를 이용해서 만들어보기로 했어요.


손질해 둔 재료를 켜켜이 잘 쌓아줍니다.

그리고 가장 위에 화룡점정으로 갱엿을 뙇 올려줍니다.

뚜껑을 닫고 가장 약한 불로 고아줍니다. 모든 재료가 푹~ 고아져서 진액이 나올 수 있도록 푹~~~ 재료준비랑 손질만 하면 정말 쉬워요!! 단지 지금부터 고아지는 동안 시간이 걸린다는 것뿐입니다. ㅎㅎ

처음 만들어 보는 거라 너무 궁금해서 1시간 후에 뚜껑을 살짝 열어보았어요. 단단했던 갱엿이 스르르 녹아들고 있더라고요.(어릴 때 콩나물 삶을 때 궁금해서 뚜껑을 열면, 엄마한테 등짝스매싱을 맞았었어요.. 콩나물 비린내 난다고.. 콩나물 대가리가 없으니 괜찮겠죠?ㅎㅎ)

오잉 갱엿 실종사건이 일어났어요. 콩나물은 아직도 잘살아있네요. ㅎㅎ 아이들 하원하기 전까지 푹~~ 고아봅니다. 좋은 성분들이 쭉쭉 뽑아지길 바라며~

호오! 콩나물들이 점점 날씬해지고 있어요. 그런데 물이 흥건하네요~ 처음에 타지 말라고 삼발이 아래 넣은 물이 좀 많았을까요? 아니면 추가로 넣은 배가 양이 많아서 그럴까요? 물이 점점 많아지네요 ㅋㅋ 밥솥으로 만든 콩나물식혜는 좀 더 진하고 양이얼마 나오지 않던데.. 저는 꽤 많이 나왔어요ㅎㅎ
소독한 유리병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하려고요.
총 5시간 정도 끓였네요.
3. 완성된 콩나물식혜 마시기


맛은 오!! 엄청 진할 줄 알았는데 물이 많이 생겨서 그런지 은은하게 단맛이 나는 게 거부감은 별로 안 들고 맛있더라고요. 오히려 좋아였어요!!
콩나물향도 나는 것 같고 갱엿맛도 나는 것 같고~ 무의 달 큰한 향도 나고 맛있었어요.
아무리 좋아도 너무 많이 마시면 안 되겠죠?
콩나물식혜 하루 권장량은 성인 하루 80ml, 어린이 40ml, 영유아 10ml 정도라고 하네요. 아이들 너무 과하지 않게 챙겨 먹이고, 남의 편도 좀 챙겨 먹여야겠어요^^ 물론 저도 먹고요~
생각보다 어렵지 않고, 쉬운 콩나물식혜 한번 만들어서 지금 같은 환절기에 따뜻하게 마셔보시는 건 어떠세요??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♡ 건강하세요!!